Private Equity


  • 투자 전문성
    •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분야에만 투자
    • 적합한 투자 기간과 합리적인 투자 집행 리스크
  • 투자의 형태
    • 상장기업(우호적) 및 비상장기업
    • 매각자와의 직접적인 거래
    • 전략적 투자와 공동 투자
    • 벤처 투자나 치열한 입찰 방식은 배제함
  • 투자의 규모
    • EBITDA > 20억 이상
    • Enterprise Value = 100억원 ~ 1,500억원
  • 투자회사의 경영진
    • 경쟁력 있는 CEO
    •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경영진
    • 투자자와 일치된 경영 목표를 수행할 수 있는 경영진
  • 투자 회사의 경쟁력
    • 강력한 브랜드 가치
    • 틈새시장에서 뛰어난 회사
    • 경쟁력 있는 기술력
    • 강력한 고객 충성도와 유통망
  • 투자 대상
    • 높은 시장 진입 장벽
    • 저비용 구조
    • 급격한 기술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기업 및 산업
    • 제품 및 산업의 전문화
    • 작은 Event Risk
  • 가치평가와 내부수익률
    • 동종 업계의 경쟁자와 비교하여 보수적인 기업 가치
    • 이익 대비 기업 가치 비율(Multiple)의 확장 혹은 추가적인 기업 인수 등을 가정하지 않고 목표 내부수익률 달성
    • 낮은 EBITDA 성장률 가정 하에서도 목표 내부수익률을 달성
  • 경영 참여 수준
    • 주요한 의사 결정에 참여
    • 투자 회수 여부 결정
    • 적절한 자금 관리 시스템
  • 투자 회수 전략
    • 감자 혹은 배당을 통한 투자금 회수의 가능성
    • 다양한 잠재적 인수 합병 기업의 존재
    • 전략적 투자자에게 Put Option 제공
    • 기업공개